해보고의 현금흐름 여정
SK머티리얼즈 기업분석 및 향후 전망과 리스크 본문
안녕하세요. SK머티리얼즈 기업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저는 SK머티리얼즈가 향후에도 더 성장할 가능성이 높기 떄문에 제 주식포트폴리오에 들어있는 종목입니다.
지금부터 기업분석을 통해 향후 전망과 리스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SK머티리얼즈 사업구조
SK머티리얼즈는 시가총액 2조 3000억원입니다.
주가를 살펴보면 17년도부터 계속 횡보하다가 올 6월에 급등한 모습을 보였는데요.
초고순도 불화수소 가스 양산 시작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상승했습니다.
불화수소는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세정 가스로 일본에서 90%이상 수입하던 재료입니다.
작년 일본의 불화수소 수출규제 사건 이후로 본격적으로 개발에 착수하여 양산에 성공하였습니다.
현재는 그보다 주가가 조금 하락한 상태로 현재 22만원 선에 유지되고 있습니다.
2016년 OCI로부터 넘겨받은 후부터 2016년 SK에어가스 인수, SK트리켐 설립, 쇼와덴코 설립, 한유케미칼, 금호석화 전자사업부를 잇달아 인수하면서 공격적으로 몸집을 불리고 있는 중입니다.
이처럼 공격적인 인수 및 투자로 현재 SK머티리얼즈는 SK에어가스, SK트리켐, SK쇼와덴코, 한유케미칼,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등의 자회사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SK머티리얼즈에서는 삼불화질소, 육불화텅스텐, 모노실란 등의 특수가스를 생산합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제조공정에 사용됩니다.
SK에어가스에서는 산소, 질소, 아르곤 등의 산업용가스를 생산합니다. 산업가스는 석유화학, 반도체, 철강, 의료, 식품 등 대부분의 산업 및 생활에 이용됩니다.
SK트리켐과 SK쇼와덴코에서는 반도체용 프리커서 및 불화수소, 에칭가스를 생산합니다. 불화수소의 경우, 올 6월에 양산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클릭) 작년에 인수한 한유케미칼에서는 반도체용 탄산가스 생산하고 있습니다.
올해 금호석화 전자소재사업부를 인수하여 설립한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에서는 불화아르곤 포토레지스트 생산할 예정입니다. 불화아르곤 또한 반도체 소재로서, 해외의존도가 90%에 달해 제품 양산이 본격화되면 국내 반도체 제조사들에 안정적인 소재 공급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2021년 생산시설을 준공하고 2022년부터 연 5만 갤런 규모의 포토레지스트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SK머티리얼즈 재무제표
SK머티리얼즈의 주요 재무제표를 살펴보겠습니다.
매출액은 2017년부터 매년 평균 20%이상씩 증가하고 있고, 올해도 전년대비 20%증가한 930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자기자본을 살펴보면 18년도에 감소한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금흐름도 점점 좋아지고 있습니다.
ROE도 매년 20%가 넘는 실적을 보여주는 등, 전형적인 성장 기업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공격적인 인수로 인해 부채비율이 높아져 재무안정성은 좋은 편은 아닙니다. PER은 동일업종 평균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배당금을 살펴보면 매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올해 배당금은 4136원, 배당수익률은 1.8% 으로 예상됩니다.
매출액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17년도에는 삼불화질소 즉, NF3가 매출의 절반 이상 차지하고 있었으나 20년도에 들어서는 NF3 외의 제품 매출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SK머티리얼즈의 주력 제품인 NF3의 경우 2017년부터 매출액 상승이 거의 없어 매출 비중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제품들의 매출 비중이 커지고 있어 앞으로도 수익성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SK머티리얼즈 전망
SK머티리얼즈의 앞으로 성장가능성과 리스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SK머티리얼즈의 앞으로의 전망을 좋게 보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살펴보면
첫 번째는 현재까지 인수한 자회사들의 실적이 잘 나오고 있고, 22년에 포토레지스트 생산까지 들어가게 되면 향후 매출액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기 떄문입니다.
특수가스에서 매년 6000억원 이상의 매출이 시현되므로 연 매출 1조원은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입니다.
두 번쨰로, 앞으로 인공지능과 자율주행자동차, 사물인터넷(IoT)등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수요처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후방산업인 SK머티리얼즈도 같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또한 후발사업자의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아 세계적으로 과점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삼불화질소와 육불화텅스텐의 경우 세계 1위, 모노실란은 세계2위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SK머티리얼즈는 SK에너지,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등 든든한 그룹 계열사들의 안정적인 대규모 수요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전체 매출액에서 SK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이 60%에 이릅니다.
위의 그림은 회사에서 제공한 IR 자료입니다.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대만 TSMC, 일본, 중국 등 다양한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 매출이 75%, 해외 25% 비중이고, 반도체소재 매출 비중이 70%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SK머티리얼즈 리스크
SK머티리얼즈의 향후 리스크를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매출의 30% 이상 차지하는 삼불화질소의 경우, UN에서 지정하는 온실가스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UN에서 NF3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요구해왔습니다.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37%를 감축해야 하기 떄문에 이후 탄소배출권 구매 또는 온실가스저감을 위한 개발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심하면 생산규제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또한 주력 제품인 NF3, WF6 등이 포함된 특수가스 산업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전방시장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여건에 따라 실적이 나빠질 위험성은 항상 존재합니다.
그리고, 몇 년간의 몸집불리기로 인해 부채비율이 높아져 재무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는 향후 포토레지스트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익이 나면 충분히 개선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SK머티리얼즈의 실적과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봤을 때, 충분히 매력적인 종목으로 보이고, 주가도 상승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기업분석을 마치겠습니다.
'주식정보 > 국내배당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년 12월 코스피 200 편입종목 및 적용날짜 , 변경주기 (0) | 2020.11.28 |
---|---|
포스코 POSCO 20년 3분기 배당금, 배당기준일, 배당지급일 (0) | 2020.11.20 |
주요 해상운임지수 및 SCFI 지수, BDI 지수 확인사이트 (0) | 2020.11.14 |
[고배당주 기업분석] GS홈쇼핑 (0) | 2020.10.24 |
리츠관련주 20년 예상 배당금 및 배당수익률 정리 (0) | 2020.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