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5)
해보고의 현금흐름 여정

안녕하세요. 해보고입니다. 22년 3월 15일 월요일 스타벅스의 주가가 4% 하락하며 79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고점대비 35%나 폭락하며 주가가 2019년까지 회귀한 모습입니다. 게다가 8주 연속으로 주가가 빠르게 하락하여 과매도 구간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봉차트를 살펴봤을 때에도 떨어지는 각도가 코로나 초창기의 모습과 거의 흡사합니다. 스타벅스가 이렇도록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는 언론에서 크게 2가지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① 원두 가격 인상, 인건비 인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원자재 원두 가격은 10년새 최고치를 기록할만큼 가격이 급등한 상태입니다.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에서 자연재해가 발생한데다 물류비 상승 등의 공급망 이슈로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커피나무는 새로 ..

안녕하세요. 해보고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2년 분기배당을 실시하기로 발표한 국내우량주식 3종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까지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주식은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쌍용C&E, 포스코, 한온시스템, SK텔레콤, 에코마케팅, 효성ITX, 신한지주 등이 있습니다. 2022년부터 분기배당을 지급하기로 발표한 세 기업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CJ제일제당 음식료 업종 중에 최초로 분기배당을 실시하기로 하였습니다. 별도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20% 이상을 주주환원에 힘쓴다고 공시하였습니다. 올해부터 배당의 안정성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매년 배당정책을 확정한다고 하니 기대를 해봐도 될 것 같습니다. 작년에는 주당 5000원(보통주 기준)의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

안녕하세요. 해보고입니다. 삼성전자의 3분기 배당금이 11월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배당지급일과 배당수익률, 그리고 3년간 배당이력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삼성전자 21년 3분기 배당지급일 10월 28일에 삼성전자는 전자공시를 통해 3분기 배당을 지급할 것을 결정한 공시를 냈습니다. 1주당 배당금은 361원이며, 현재 주가로(11월4일 기준) 삼성전자 배당수익률은 0.5%입니다. 삼성전자우의 배당수익률은 0.54%입니다. 배당기준일은 21년 9월 30일이며, 배당 지급일은 21년 11월 17일(수)입니다. ② 삼성전자 분기별 배당금 지급내역, 배당수익률 삼성전자의 분기별 배당금 지급내역입니다. 올해에는 주당 361원을 분기별로 배당금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로 연간 배당수익률은 2...

안녕하세요. 해보고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키움증권에서 매수한 해외주식을 다른 증권계좌로 이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스마트폰 MTS로는 불가능하고, 컴퓨터를 통한 HTS로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 키움증권 해외주식 이전시키는 방법 ① 영웅문 Global을 실행합니다. ② 온라인업무 - 고객업무신청 - 타사대체출고(해외증권) 순으로 클릭합니다. ③ 거래소코드는 미국으로 변경해주시고, 이전할 종목을 클릭합니다. 이전할 증권사를 선택하고, 상대지점명은 온라인지점으로 입력합니다. 계좌번호와 연락처, 출고사유를 입력한 후 출고신청을 누릅니다. 평일 오후 1시 이전에 신청할 경우, 당일 처리되어 해당 증권사로 넘어갑니다. 해당 증권사에서도 계좌이전처리를 해야해서 2일 정도 소요됩니다. 오후 1시 이..

안녕하세요. 해보고입니다. 제가 21년 4월에 갤럭시 S21로 바꿨습니다. 기기값을 전혀 내지 않는 대신 6개월 동안 슈퍼플랜베이직 요금제 월 9만 원짜리를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구매를 했었습니다. 6개월 지난 후에는 LTE로 바꿔도 되고, 5G 요금제 저렴한 것으로 바꿔도 된다고 공지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10월에 5G 세이브(월 45,000원) 요금제로 변경하려고 즉시변경 버튼을 눌렀더니.. 다음과 같은 빨간 경고 메세지가 뜨는 것이었습니다. 5G 세이브요금제로 변경하면 차액 정산금(요금 하향) 229,872원이 발생한다는 경고 알림이 떴습니다. 아니.. 6개월쓰고 요금제 바꿔도 된다고 하길래 바꾸려고 했더니 위약금이 발생한다는 게 말이 되는 소린가 해서 바로 고객센터에 문의했습니다. 고객센터에 ..

안녕하세요. 해보고입니다. 실업급여 부정수급으로 해당하는 유형을 살펴보고, 처벌규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실업급여 부정수급 유형 1. 실업급여 받는 동안 취업하거나, 자영업을 했으나 신고하지 않은 경우 자영업, 취업 등의 소득이 발생하는 사건이 발생할 경우, 실업급여가 감액되어 지급하므로 반드시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일용직, 임시직,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활동 소득, 수수료 등 명칭을 불문하고 단기간 근로한 사실도 있을 경우 금액에 관계없이 소득발생사실을 반드시 신고하여야 합니다. 2. 이직사유를 허위로 신고한 경우 자진퇴사임에도 권고사직으로 이직했다고 허위 신고하거나, 계약직이 아닌데도 계약만료로 이직하였다고 허위 신고, 이직확인서를 허위로 작성한 경우에는 실업급여를 받..